본문 바로가기
건강

아동간호 Ch.8 순환기능장애 아동

by 해 온 2022. 5. 14.
반응형

아동간호
아동간호

 

 

 

끄적이는 간호 공부 아동간호 Ch.8 순환기능장애 아동

 

 

 

 

1. 태아기의 순환

  • 태반→제대 정맥→간→정맥관→하대정맥→우심방→심방중격-난원공→좌심실, 대동맥→전신→관상동맥
  • 상대정맥→우심방→삼첨판막→우심실→폐동맥→동맥관→대동맥, 폐→폐정맥→좌심방→좌심실→대동맥
  • 아동의 순환은 성인의 순환과 조금 다른 점이 있습니다. 몇 가지를 추려보자면, 첫 번째로 하대정맥의 산소포화도가 가장 높게 측정됩니다. 두 번째로 난원공이라는 기관이 존재하는데, 이것은 좌심방으로 이어져서 산소포화도가 가장 높은 혈액을 뇌 쪽으로 보내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. 세 번째로 동맥관은 폐동맥으로 들어오는 혈액 중에서 일부를 동맥관을 통하여 하대 동맥으로 내보내는 일을 수행합니다. 마지막으로 폐동맥은 폐포 활성물질의 발달 등 폐의 성숙을 돕는 정도의 혈액만 이동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2. 신생아기 순환기계 특징

  • 첫 호흡과 동시에 물로 채워졌던 폐는 공기로 전환되며 산소에 의하여 폐혈관이 확장됩니다. 이것은 폐의 음압을 형성하여 폐동맥 압력이 하강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 즉, 폐포가 열리고 폐로 이동하는 혈류량이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
  • 폐 혈류가 증가하면 좌심방의 압력이 증가하여 우심방의 압력이 감소하게 됩니다. 그렇기 때문에 두 심방의 압력에서 차이가 발생하여 난원공이 막히게 됩니다.
  • 출생 시 탯줄이 막히게 되면서 혈류가 사라지기 때문에 정맥관이 막히게 됩니다.
  • 출생 후 혈액 내 산소량이 높아지면서 동맥관이 막히게 됩니다. 이때, 동맥관은 대략 24시간 이내에 기능적으로 막히게 되고 2~3주 후에 완전히 막히게 됩니다. 다만 2~3주 전 Prostaglandin E1을 투여한다면 동맥관이 다시 열릴 수 있습니다.
  • 출산 후에 갑작스러운 외부 온도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혈관이 수축됩니다. 즉 전신의 혈관압이 상승하게 되고, 폐는 음압을 형성하여 전신 혈관은 양압을 유지하게 됩니다. 이렇게 되면 자연스럽게 우심실의 압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3. 선천심장병 (Congenital heart disease)

  • 아동이 출생 시부터 가지고 있는 해부학적인 기형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심기능을 갖게 된 경우를 의미합니다. 임상적 결과로는 울혈성 심부전이나 저산소혈증이 있습니다.
  • 선천 심장병의 발생 빈도는 출생아 1,000명 중 5~8명 정도로, 가장 흔한 유형은 심실중격결손(VSD) 입니다.
    선천 심장병의 원인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인자유전의 결과로 여겨집니다.
  • 주요 병인 및 병태생리는 임신 첫 8주 동안 발생하며, 유전인자와 환경인자의 상호작용이 원인인 경우가 많습니다. 태아가 약물에 노출되거나, 알코올, 간접흡연, 모체의 대사질환, 모체의 고령, 염색체 이상인 경우도 해당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4. 후천심장병 (Acquired heart disease)과 심장의 진단평가

  • 아동이 출생 후에 발생한 이상 혹은 질병 과정을 의미합니다. 선천 심장 결손이나 정상 심장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, 감염, 자가면역반응, 환경적 요인, 가족력 등의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.
  • 심장의 진단평가를 위해서는 X-ray, EKG(ECG), 심장초음파, 심도자술(Cardiac catheterization), 운동부하검사(심박동 수를 확인하는 검사), 심장 자기 공명 혈관조영술 등 다양한 검사를 통하여 진행됩니다. 
  • 특히 심도자술의 경우, 방사성 비투과성 카테터를 말초혈관을 통하여 심장으로 삽입하여 진행하는 검사입니다. 심도자술을 통하여 심장 구조와 혈류 양상을 영상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 심도자술을 시행할 경우 세심한 간호가 필요합니다. 아동은 시술에 대한 부작용으로 급성 출혈, 미열, 오심, 구토, 혈전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시술 전 간호로는 V/S를 측정하고 조영 물질에 대한 과민반응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또 감염 증상에 대해 주의하여야 하고 족저 맥박을 양쪽 모두 측정하여 기록해야 합니다. 시술 시행 후 간호로는 심장 모니터와 산소농도계를 몇 시간 동안 부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 또 합병증 관찰을 위하여 맥박, 사지의 피부색, 온도 등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때, 출혈이 발생한다면 혈관 천자 부위에 집중적으로 압박이 가해질 수 있도록 천자 부위의 2.5cm 위쪽을 지속적으로 압박해야 합니다.
반응형

댓글